디젠티스 수도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젠티스 수도원은 스위스에 위치한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614년에 설립되었다고 여겨졌으나,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8세기 초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수도원은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여 제국 황제의 관심을 받았으며, 1799년 나폴레옹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지만 재건되었다. 현재는 중등학교와 로만슈어 도서관을 운영하며, 종교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디젠티스 수도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디젠티스 제국령 수도원 |
현지 이름 | 독일어: Reichskloster Disentis 라이히스클로스터 디젠티스 이탈리아어: Abbazia Imperiale di Disentis 아바치아 임페리알레 디 디젠티스 로만슈어: Claustra Imperiala da Mustér 클라우스트라 임페리알라 다 무스테르 |
일반 명칭 | 디젠티스 수도원 |
역사 | |
시대 | 중세 |
유형 | 제국령 수도원 |
소속 제국 | 신성 로마 제국 |
현재 국가 | 스위스 |
설립 | 8세기 |
설립 시기 | 기원후 720년경 |
제국 직할 | 아마도 |
그레이 리그 설립 | 1395년 |
그레이 리그, 스위스 동맹 준회원국 | 1497년 |
스위스 수도원 연합 가입 | 1617년 |
프랑스 군대에 의한 파괴 및 약탈 | 1799년 |
해체 | 1846년 |
해체 사유 | 그라우뷘덴 주에 의한 통제 |
복원 | 1880년 |
지리 | |
수도 | 디젠티스 수도원 |
![]() | |
언어 | |
공용어 | 로만슈어 고지 알레만 독일어 |
정치 | |
정치 체제 | 신정 |
기타 | |
이전 국가 | p1: (알 수 없음) s1: 그라우뷘덴 |
2. 초기 역사
디젠티스 수도원의 설립 시기에 대해서는 두 가지 주요 견해가 있다. 과거에는 614년 지역 성인 플라키두스와 지기스베르트에 의해 세워졌으며, 670년 아바르족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711년경 카롤루스 마르텔과 성 피르민에 의해 재건되었다는 전통적인 설이 있었다. 그러나 보다 실질적인 연구와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수도원의 실제 창립은 8세기 초로 추정되며, 최초의 건물은 700년경 세워져 940년경 사라센족의 침입으로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1]
수도원의 초기 발전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은 765년경 작성된 쿠어의 주교 텔로의 유언장이다. 이 문서는 당시 수도원이 이미 상당한 규모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며, 텔로 주교는 플림스와 트룬 사이 하부 수르셀바 지역에 걸친 자신의 광대한 토지와 동산을 수도원에 유증했다. 이는 수도원 성장의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 '하느님의 집'(Casa Dei|카사 데이la)을 의미하는 수르실반어 Cadì|카디rm는 디젠티스 수도원과 그 봉건 영토를 가리키는 역사적인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
800년 샤를마뉴가 로마에서 돌아오는 길에 수도원을 방문하여 많은 혜택을 베풀면서 수도원의 위상은 더욱 높아졌다.[2] 디젠티스 수도원은 초기부터 황제에게 직접 속하여 다른 영주들의 간섭을 받지 않는 제국 수도원(Reichskloster|라이히스클로스터de)의 지위를 누렸다. 특히 알프스를 넘는 주요 경로인 룩마니에 고개의 전략적 중요성[1] 때문에 제국의 큰 관심을 받았으며, 오토 1세나 프리드리히 1세와 같은 황제들도 이탈리아로 향할 때 이곳을 통과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역대 수도원장들은 롬바르디아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상당한 규모의 수도원 국가를 형성할 수 있었다.
11세기에 이르러 우달리크 1세(1031년~1055년)는 제국의 제후가 된 최초의 수도원장이 되었고, 이후 여러 수도원장들이 제후의 지위를 얻거나 인근 교구의 주교직을 겸임하며 수도원의 정치적, 종교적 영향력을 더욱 강화해 나갔다.[2]
2. 1. 전통적 견해
과거에는 디젠티스 수도원이 지역 성인 플라키두스와 지기스베르트에 의해 614년에 세워졌다고 여겨졌다. 전승에 따르면, 이 수도원은 670년에 아바르족의 침입으로 파괴되었으며, 이때 수도원장과 30명의 수도사가 순교했다고 한다. 이후 성 마르티누스에게 봉헌된 이 수도원은 711년경 카롤루스 마르텔과 성 피르민에 의해 재건되었다고 전해진다.2. 2. 현대적 견해
과거에는 이 수도원의 창립 연도를 지역 성인 플라키두스와 지기스베르트에서 유래하여 614년으로 보기도 했으나, 더 실질적인 연구에 기반한 현재의 견해는 창립이 8세기 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1] 이는 유적지에서 가장 오래된 구조물이 700년경에 건설되어 940년경에 파괴되었다는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뒷받침되며, 파괴 원인은 사라센족의 습격으로 추정된다.12세기의 작품인 Passio Placidi|파시오 플라키디la에 극화된 지기스베르트의 이야기에 따르면, 그는 프랑크족 수도승으로 콜룸바누스와 뤽세유 수도원의 이상에 영감을 받아 성 마르티누스의 보호 아래 이곳에 작은 수도원을 세웠다고 한다. 플라키두스는 지역 유력자이자 지주로서 지기스베르트를 지원했으며, 쿠어의 praeses|프라에세스la(대통령)인 빅토르에게 살해당했는데, 이는 플라키두스가 교회에 막대한 토지를 기증하여 지역의 독립성이 약화되는 것을 막으려 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디젠티스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현존 문서 중 하나는 쿠어의 주교인 텔로의 유언장으로, 765년으로 추정되며 수도원이 이미 소유하고 있던 광대한 재산을 기록하고 있다. "파시오 플라키디"는 텔로를 빅토르의 아들로 설정하고, 그가 물려받은 재산을 플라키두스 살해에 대한 속죄물로 묘사한다. 이것이 사실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수도원은 이 시기에 이미 상당한 영지를 확보했으며, 텔로는 플림스와 트룬 사이 하부 수르셀바 지역에 집중된 자신의 광대한 토지와 동산을 수도원에 유증했다. '하느님의 집'(Casa Dei)을 의미하는 수르실반어 Cadì|카디rm는 디젠티스 수도원과 그 봉건 영토의 역사적 이름이 되었다.
샤를마뉴는 800년 로마에서 돌아오는 길에 재건된 수도원을 방문하여 많은 혜택을 베풀었다.[2] 수도원은 초기부터 황제에게 직접 속하여 다른 영주들의 간섭을 받지 않는 Reichskloster|라이히스클로스터de(제국 수도원)였다. 디젠티스가 제국의 관심을 끈 이유는 룩마니에 고개의 전략적 위치[1] 때문이었으며, 오토 1세와 프리드리히 1세 황제 등이 이탈리아로 가는 길에 이곳을 통과했다. 역대 수도원장들은 이러한 이점을 활용하여 수도원의 영향력을 넓혔고, 롬바르디아까지 이르는 토지를 하사받아 상당한 규모의 수도원 국가를 형성하게 되었다.
우달리크 1세(1031–1055)는 제국의 군주 지위를 얻은 최초의 수도원장이었으며, 이후 여러 수도원장들이 그의 뒤를 이었다. 그들 중 다수는 인접 교구의 주교를 겸임하기도 했다.[2]
디젠티스 수도원의 신민들은 1285년에 처음으로 자체 인장을 사용했으며, 1371년부터는 자체적인 Landammann|란트아만de(mistral|미스트랄rm)을 두었다. Cadì|카디rm는 1401년에 그레이 리그의 자치 코뮌(Cumin grond|쿠민 그론드rm)이 되었다. 1472년부터는 수도원장이 제출한 3명의 후보자 중에서 미스트랄이 선출되었으나, 17세기부터는 자유 선거로 바뀌었다. 1851년까지 카디는 디젠티스, 투예취, 브리겔스(메델 포함), 트룬(숨비그 포함)의 4개 관할 구역(Gericht|게리히트de)으로 나뉘어 있었다.
1617년에 수도원은 새로 결성된 스위스 수도회[2](현재 베네딕토회 연맹의 일부)에 가입했다. 수도원 건물들은 1683년과 1704년 사이에 바로크 양식으로 개조되었다.[1] 성 마르티누스 수도원 교회는 1712년에 건설되었으며, 2016년에 복원 작업을 거쳤다.
2. 3. 초기 발전
과거에는 이 수도원의 창립 연도가 지역 성인 플라키두스와 지기스베르트에게서 유래되었으며 614년으로 여겨졌다. 전승에 따르면 이 수도원은 670년 아바르족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이때 수도원장과 30명의 수도승이 순교했다. 성 마르티누스에게 봉헌된 이 수도원은 711년경 카롤루스 마르텔과 성 피르민에 의해 재건되었다고 한다.하지만 더 실질적인 연구에 따르면 두 번째이자 현재의 견해는 창립이 8세기 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1] 이는 700년경에 부지에 최초의 추적 가능한 구조물이 건설되었고 약 940년에 파괴되었다는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뒷받침되며, 이는 사라센족의 습격 때문으로 여겨진다.
12세기의 작품인 "파시오 플라키디"(''Passio Placidi'')에 극화된 지기스베르트의 이야기는 그가 프랑크 수도승으로, 콜룸바누스와 뤽세유 수도원의 이상에 영감을 받아 성 마르티누스의 보호 아래 이곳에 작은 수도원을 세웠다는 것이다. 플라키두스는 지역 유력자이자 지주였으며 지기스베르트를 지원했고, 쿠어의 praeses|프라에세스la(대통령)인 빅토르에 의해 살해되었는데, 이는 교회에 막대한 토지를 이전함에 따라 독립성을 상실하는 것을 막기 위한 시도였다.
디젠티스와 관련된 가장 초기의 현존하는 문서 중 하나는 쿠어의 주교인 "텔로"의 유언장으로, 765년으로 추정되며 수도원이 이미 소유하고 있던 광대한 재산을 기록하고 있다. "파시오 플라키디"의 이야기는 텔로를 빅토르의 아들로, 재산을 플라키두스의 살인에 대한 속죄물로 만든다. 이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수도원은 분명 이 시기에 매우 큰 영지를 확보했다. 텔로는 플림스와 트룬 사이의 하부 수르셀바 지역에 집중된 자신의 광대한 토지와 동산을 수도원에 유증했다. "하느님의 집"(la)을 의미하는 수르실반어인 Cadì|카디rm는 디젠티스 수도원과 그 봉건 영토의 역사적 이름이다.
샤를마뉴는 800년 로마에서 돌아오는 길에 재건된 수도원을 방문하여 많은 혜택을 베풀었다.[2] 수도원은 매우 초창기부터 황제에게 직접 보고하고 다른 영주들의 요구로부터 자유로운 제국 수도원(de)이었다. 디젠티스가 제국의 관심을 끌었던 것은 룩마니에 고개의 전략적 위치[1]였으며, 오토 1세와 프리드리히 1세 황제가 남쪽으로 가는 길에 이곳을 건넜다. 역대 수도원장들은 이를 활용하여 수도원에 유리하게 만들 수 있었고, 롬바르디아까지 뻗어 있는 토지를 받았으며, 상당한 규모의 수도원 국가를 건설하는 결과를 낳았다.
우달리크 1세(1031년~1055년)는 제국 제후가 된 최초의 수도원장이었고, 이후에도 여러 명이 그랬다. 그들 중 많은 수가 인접한 교구의 주교가 되기도 했다.[2]
디젠티스 수도원의 신민들은 1285년에 처음으로 자체 인장을 사용했다. 그들은 1371년부터 자체 란트만(mistral|미스트랄oc)을 가졌다. Cadì는 1401년에 그레이 리그의 자치 코뮌(cumin grond|쿠민 그론드rm)이 되었다. 1472년부터는 수도원장이 제출한 3명의 후보자 중에서 미스트랄이 선출되었고, 17세기부터는 자유 선거로 치러졌다. 1851년까지 카디는 디젠티스, 투예취, 브리겔스(메델 포함), 트룬(숨비그 포함)의 4개 관할 구역(Gericht|게리히트de)으로 나뉘었다.
1617년에 수도원은 최근에 결성된 스위스 수도회[2](현재 베네딕토회 연맹의 일부)의 일원이 되었다. 건물들은 1683년과 1704년 사이에 바로크 양식으로 개조되었다.[1] 성 마르티누스 수도원 교회는 1712년에 건설되었으며 2016년에 복원되었다.
3. 중세와 회색 동맹
중세 후기, 디젠티스 수도원은 점차 회색 동맹과의 관계를 형성하며 지역 내 영향력을 조정해 나갔다. 이 시기 수도원 영지 주민들의 자치권 확대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종교 및 건축 양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3. 1. 제국과의 관계
샤를마뉴는 800년 로마에서 돌아오는 길에 재건된 수도원을 방문하여 많은 혜택을 베풀었다.[2] 수도원은 초창기부터 황제에게 직접 보고하고 다른 영주들의 간섭에서 자유로운 Reichskloster(제국직속령)의 지위를 누렸다. 디젠티스 수도원이 제국의 관심을 받은 이유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룩마니에 고개에 위치했기 때문이었다.[1]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인 오토 1세와 프리드리히 1세도 이탈리아로 향할 때 이 고개를 넘었다. 역대 수도원장들은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수도원의 영향력을 키웠고, 롬바르디아까지 이르는 토지를 하사받아 상당한 규모의 수도원 국가를 형성했다.우달리크 1세(1031–1055)는 제국의 군주(Prince of the Empire)가 된 최초의 수도원장이었으며, 이후 여러 수도원장들이 그의 뒤를 이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인접한 교구의 주교직을 겸임하기도 했다.[2]
한편, 수도원 영지 내 주민들의 자치권도 점차 확대되었다.
연도 | 주요 내용 |
---|---|
1285년 | 수도원 신민, 자체 인장 첫 사용 |
1371년 | 자체 란트만(미스트랄, 지역 행정관) 선출 시작 |
1401년 | 카디(수도원 영지)가 그레이 리그의 자치 코뮌(쿠민 그론드)으로 가입 |
1472년 | 수도원장이 제출한 3명의 후보 중 미스트랄 선출 방식으로 변경 |
17세기 | 미스트랄 자유 선거 실시 |
1851년까지 카디는 디젠티스, 투예취, 브리겔스(메델 포함), 트룬(숨비그 포함)의 4개 관할 구역(''법정'')으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1617년에 수도원은 새로 결성된 스위스 수도회[2](현재 베네딕토회 연맹의 일부)에 가입했다. 수도원 건물들은 1683년과 1704년 사이에 바로크 양식으로 개조되었으며,[1] 성 마르티누스 수도원 교회는 1712년에 건설되었으며 2016년에 복원되었다.
3. 2. 회색 동맹의 중심지
디젠티스 수도원의 수도원장은 1285년에 처음으로 자신의 인장을 사용했다.[1] 1371년부터는 독자적인 행정관인 란타만(미스트랄)을 두었다.[1] 카디(Cadi) 지역은 1401년에 회색 동맹의 자치 코무네가 되었다.[1] 1472년부터 미스트랄은 티켓에서 선출되었으며, 17세기부터는 수도원장이 제시한 3명의 후보 중에서 자유 선거를 통해 선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1] 1851년경 카디는 디젠티스, 투이에취, 브리겔스와 메델, 트룬과 줌비타크의 4개 관할 구역(법원)으로 나누어졌다.[1]1581년에는 성 가롤로 보로메오가 방문했다.[1] 1617년에 수도원은 새로 조직된 스위스 회중(현재 베네딕토회 연맹의 일부)의 일원이 되었다.[1]
수도원 건물은 17세기 말경 바로크 양식으로 개조되었다.[1]
4. 근세와 현대
17세기 말 바로크 양식으로 개축되었으나, 1799년 프랑스 혁명 전쟁 당시 나폴레옹 군대의 침략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귀중한 문화재가 소실되고 재산을 약탈당했으며, 수도원이 소유했던 영지의 상당 부분도 잃었다.[3]
이후 수도원은 마지막 제국 공작(Reichsfürst) 수도원장 안셀름 후온더(Anselm Huonder)의 노력으로 재건되었지만,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다시 심각한 재정적, 정신적 위기를 맞았다.[3] 당시 스위스의 다른 많은 종교 시설들이 해산되는 운명을 맞았으나, 디젠티스 수도원은 가까스로 이를 피했다.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수도원은 1880년 스위스의 종교 시설 복원 정책에 힘입어 중등학교를 개교하며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 학교는 오늘날까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3]
현재 디젠티스 수도원은 종교 공동체이자 명망 있는 중등학교로서 그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4. 1. 바로크 양식 개축
건물은 17세기 말경 바로크 양식으로 개조되었다.4. 2. 프랑스 혁명 전쟁의 피해
1799년, 수도원은 프랑스 혁명 전쟁 중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 군대의 침략을 받아 불타고 약탈당하는 큰 피해를 입었다. 이 과정에서 7세기 필사본 연대기를 비롯한 수많은 귀중한 물품과 서적, 기록 보관소가 소실되었다.[3] 1729년에 설치되었던 인쇄기 역시 파괴되었으나, 다행히 녹아내린 활자와 금속 일부는 보존될 수 있었다. 이 금속들은 이후 디젠티스에 있는 성 마르틴 교회의 오르간 파이프를 만드는 데 사용되어 현재까지도 그 소리를 내고 있다. 파괴되지 않고 남은 물품 대부분은 전쟁 자금을 마련한다는 명목으로 프랑스군에게 압수되었으며, 수도원은 소유하고 있던 영지의 절반을 잃었다.[3]이러한 파괴에도 불구하고, 제국 공작(Reichsfürst)의 지위와 칭호를 가졌던 마지막 수도원장 안셀름 후온더(Anselm Huonder)의 노력으로 수도원은 재건될 수 있었다.[3] 한편, 15세기부터 상당한 자치권을 누리고 18세기에 수도원에 내던 십일조 납부 의무에서도 벗어났던 수도원의 봉건 영지는 1799년 헬베티아 공화국 치하에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통치 시스템은 1851년 새로운 주(칸톤) 헌법이 제정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4. 3. 19세기의 위기와 재건
1799년, 수도원은 나폴레옹 군대의 침략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군인들은 수도원에 불을 지르고 약탈했으며, 이 과정에서 7세기 필사본 연대기를 포함한 많은 귀중한 물품, 서적, 기록 보관소가 파괴되었다.[3] 1729년에 설치되었던 인쇄기 역시 파괴되었으나, 녹아내린 활자와 금속 조각들을 모아 디젠티스에 있는 성 마르틴 교회의 오르간 파이프를 만드는 데 사용했다. 파괴되지 않은 물품 대부분은 전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몰수되었고, 수도원은 소유하고 있던 영지의 절반을 잃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국 공작의 지위와 칭호를 누린 마지막 수도원장이었던 Anselm Huonder|안셀름 후온더de가 수도원 재건을 이끌었다.[3]수도원의 봉건 영지는 15세기부터 폭넓은 자치권을 누렸고 18세기에는 수도원에 내던 십일조 납부 의무에서도 벗어났다. 이 영지는 1799년 헬베티아 공화국 치하에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으나, 전통적인 통치 방식은 1851년 새로운 칸톤 헌법이 제정될 때까지 유지되었다.[3]
디젠티스 수도원은 당시 다른 많은 종교 시설들이 겪었던 강제 해산을 피할 수는 있었지만, 19세기는 수도원에게 매우 어렵고 불안정한 시기였다.[3] 물질적 자원은 위험할 정도로 줄어들었고, 수도사들의 사기와 영적 수련의 기강 또한 심각하게 무너져 수도원이 과연 존속할 수 있을지조차 불투명했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뮌헨의 성 보니파시오 수도원에서 Paul Birker|파울 비르커de 수도원장이 파견되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1861년 결국 디젠티스를 떠나 평수도사 신분으로 뮌헨으로 돌아가야 했다.
하지만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수도원은 살아남았다. 1880년 스위스에서 종교 시설의 활동이 다시 활발해지면서 디젠티스 수도원은 중등학교를 열었으며, 이 학교는 오늘날까지 운영되고 있다.[3] 19세기 말에 이르러 수도원은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건강을 완전히 회복하였다.
5. 현대의 디젠티스 수도원
1799년 나폴레옹 군대의 침략으로 수도원은 큰 피해를 입었다. 7세기 필사본 연대기를 포함한 많은 귀중품과 기록물이 파괴되었고, 1729년에 세워진 인쇄기도 파괴되었다. 파괴된 인쇄기에서 녹아 나온 금속은 디젠티스 성 마틴 교회의 오르간 파이프를 만드는 데 사용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수도원은 재산의 절반을 잃었으나, 제국의 왕자 지위와 칭호를 누린 마지막 수도원장인 안젤름 후온더(''Anselm Huonder'')에 의해 재건되었다.
19세기는 수도원에 어려운 시기였다. 스위스의 다른 많은 종교 단체들이 해산되었지만 디젠티스는 이를 피했으나, 물질적, 정신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으며 존립 자체가 위태로웠다. 뮌헨 성 보니파시오 수도원의 파울 비르커(''Paul Birker'') 수도원장이 파견되어 상황을 개선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원은 위기를 극복하였고, 1880년 스위스의 종교 시설 복원 정책에 힘입어 중등학교를 개교하며 새로운 활로를 찾았다. 19세기 말에는 정신적, 물질적 건강을 완전히 회복하였다.
현재 디젠티스 수도원은 성 베네딕토 규칙을 따르는 종교 공동체이자 교육 기관으로서 그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5. 1. 종교 공동체
디젠티스 수도원은 성 베네딕토 규칙을 따르는 종교 공동체로서 현재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수도원은 종교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는 중등학교의 본거지로서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수도원 내에는 문법 학교와 김나지움(중등학교)이 함께 운영되고 있으며, 재학생 중 약 3분의 1은 기숙사에서 생활한다. 2004년에는 스타브로스 니아르코스 재단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아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의 여학생들을 위한 기숙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 기회를 확대했다.[4] 또한, 수도원은 방대한 양의 로만슈어 관련 자료를 소장한 도서관을 보유하고 있어 언어 및 문화 연구에도 기여하고 있다.
5. 2. 교육 기관
1880년 스위스의 종교 시설 복원과 함께 디젠티스 수도원은 중등학교를 개교하여 오늘날까지 운영하고 있다. 19세기 말에는 정신적, 물질적 건강을 회복하였다. 수도원은 성 베네딕토 규칙을 따르는 종교 공동체이자 높이 평가받는 중등학교의 본거지로서, 문법 학교와 김나지움(중등 학교)을 모두 운영한다. 학생의 약 3분의 1은 기숙사에서 생활한다. 2004년에는 스타브로스 니아르코스 재단의 지원을 받아 저소득층 가정의 여학생을 위한 기숙 학교가 설립되었다.[4] 또한, 수도원은 포괄적인 로만슈어 도서관을 소장하고 있다.5. 3. 로만슈어 연구
수도원은 포괄적인 로만슈어 도서관을 보유하고 있다.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Disentis Monastery
https://www.myswitze[...]
Switzerland Tourism
[2]
서적
Abbey of Dissentis."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9-11-07
[3]
웹사이트
1400 Jahre
https://www.kloster-[...]
Benediktiner Kloster Disentis
[4]
웹사이트
Benediktinerabtei Disentis
https://www.snf.org/[...]
Stavros Niarchos Found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